└활동의영향논문2

  • 홈 >
  • 교본/악보/공부 >
  • └활동의영향논문2
└활동의영향논문2
4) 크로마하프악기 연주의 치료효과 강귀순 2017-01-30
  • 추천 0
  • 댓글 0
  • 조회 358

http://chromaharp.onmam.com/bbs/bbsView/86/5226005

4) 크로마하프악기 연주의 치료효과


(1) 신체와 뇌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인간의 신체는 육체를 말하고 마음은 지식 감정, 의식 등 정신적인 것이 기초가 된다. 육체와 마음의 움직임을 컨트롤하고 있는 것이 뇌이고 여기서 좋은 감정을 끄집어 내는 것은 뇌가 활성화 되는 것을 의미 한다.


손끝에는 뇌의 신경세포가 많이 이어져있어 손을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뇌의 혈류량을 증가 시킬 수 있다고 한다(김동주, p36 1988).


음을 듣는 것만으로도 좋은 효과를 가져 오는 것도 있지만 악기를 사용해서 더욱 몸에 진동을 주는 효과와 특히 손가락 등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말초신경을 자극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프에 의한 음악치료의 요소를 들어보면, 하프의 음은 듣기 쉬운 음정, 귀에 방해되지 않는 음색과 여운이 있는 감미로운 음으로 사람의 마음을 평화롭게 할 수 있고


하프는 손가락으로 만지는 것 만 으로도 음이 울리기 때문에 누구든지 간단하게 음을 낼 수 있고 ,

장애가 있는 사람도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 또는 그 다른부분을 움직인다는 것이

재활훈련이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김동주, p45 1988).


이에 크로마하프는 왼손 오른손 모두 손끝을 사용하고 있기에 뇌 혈류량을 증가 시켜 뇌의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치매 예방과 신체 재활에도 도움이 된다고 본다


(2) 노래를부르면서 연주할때의 효과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노래를 부를 때 자신의 느낌을 이해하고 감정을 발산 할 수 있는 것이다 .

그런데 시원한 가창력과 짙은 호소력을 가진 사람이 노래를 부르게 되면

노래를 부르지 않고 듣는 것만으로도 자신의 감정을 발산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음악을 ‘하는’ 행위가 음악을 ‘듣는’ 행위보다 치료적으로 한층 중요시 된다(정의관,1995).


노래를 할 때는 들이쉬는 숨은 짧게 하고 내쉬는 숨을 길고 의식적으로 하기 때문에 호홉 조절이 된다.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들은 흔히 빠르고 단조롭게 숨을 쉬는데 이런 경우 노래는

호홉 기능을 강화하는 치료법이 된다.( Hinrich Van Deest, 공찬숙. 여상훈역, 1999)

또한 노래를 부르면 심장의 운동, 혈액순화, 소화, 폐와 호흡 등에도 긍정적인 형향을 준다(김군자, 1998).


큰소리로 노래를 부르는 것은 흉식과 복식 호홉, 심페 기능의 강화에 도움을 주며 발성은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심신을 편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누구든지 자신이 살아온 시대와 그때에 유행한 노래 , 추억의 곡을 부르는 것으로 뇌가 자극되어 보통 기억 할 수 없었던 것을 기억나게 할 수 있다.

또 합창은 자신의 목소리를 들으면서 동시에 타인의 목소리를 듣고 똑같은 리듬을 타고 있기 때문에

일체감과 협조성, 사회성을 키우는 효과가 있다(김동주 , p40 1988).


이에 노래를 부르면서 연주하는 크로마하프는 억눌린 감정을 발산하여 심신을 편하게 해주고 추억의 노래를 통해 뇌를 자극하여 기억을 되살릴수 있으며 합창을 통해 협동심과 사회성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본다


(3) 찬양을 부르면서 연주 할때의 효과

본 논문에서 설문조사 대상자들의 종교분포를 보면 기독교인들이 약 93%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크로마하프 연주활동의 노래들은 주로 찬양 곡을 많이 부르고 있다.


융은 중년기의 위기는 ‘영적위기’라고하며 지금까지 추구해오던 가치가 상실되면 텅 빈 구멍이 생기게 되는데 여기 텅 빈 진공상태는 젊은 시절 추구해오던 물질을 가지고는 채워지지 않으며, 오직 정신적 .영적 의미로만 채워 질수 있는 공간이다 (정태기,1992) 라고 했다


종교적인 음악으로써 성서의 예언적인 말씀 기쁨과 소망, 사랑을 주제로 한 찬송가 가사 등은 긍정적인 삶과 영적인 기쁨을 누릴수 있으며,

찬송가는 단조의 곡보다 장조의 곡이 많아 선율이 밝고, 힘이 있고, 정열적이며 동적인 것이 많다.

종교적인 음악의 가사와 노래는 자신의 분노와 두려움 등을 해소하고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가짐으로써 인생의 의미를 확립시켜주며,

 죽음후의 세계에 대한 두려움이나 공포심을 없애주는 음악에 대한 생리적 심리적인 치료와 의지가 된다( 김동주, p76 1988).


찬양은 인간의 정신적인 평안과 심리적인 만족감을 얻게 하여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는 가운데 신자들의 마음이 승화 되도록 도와 준다(정정숙, 1998).


찬양의 치유능력은 성도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겪어야 할 분안, 공포, 억압, 고통 등을 치료하며 완화 시켜주는 기능이 있다는 것을 말한다.

또 현대인들의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에도 찬양이 휼륭 하게 활용 될 수 있으며

특별히 찬양을 통한 치유는 어떤 음악보다도 큰 힘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김송자. 2005).


이에 크로마하프 악기를 연주하면서 부르는 찬양이 텅빈 진공상태(우울함) 의 맘을 채울 수 있는데 도움이 된다고 본다.


(4) 단체 활동에 의한 효과

집단 활동의 선행연구에서 집단 활동은 자신들의 감정과 경험이 공유 될 때 잃어버렸던

자아 존중 감 을 되찾기 쉽고

또 집단구성원들이 서로 친구가 되어 고립감을 해소 할 수도 있다고(김유순, 이영분, 1998) 했으며,

Singer(1962)의 연구는 개인음악이 자아존중감과 동료를 인정하는 능력을 증대시켰고 ,

Cassity(1976)의 연구에서는 기타 교습을 한 음악 연주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그룹 응집력과 동료 수용도가 크게 향상되었음을 나타내었다 

 또 박영숙(1995)은 음악 감상 및 악기 연주가 정신 질환자의 고독감과 우울감을 완화시키고,

대인관계증진, 사회성, 기분전환 등의 치료적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크로마하프악기를 연주 할 때는 개인이 혼자서 연주 할 때도 있지만 여러 사람들이 함께 하며 관중들 앞에서 연주를 할 때가 많으므로 자신감이 생기고 사람들 앞에 서기 위해서 개인적으로 연주법을 익히기 위해 열심히 연습하다가 보면 언젠가 자신도 모르게 자신감이 생기게 되므로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게 된다고 본다


(5) 아름다운 음색으로의 효과

크로마하프는 악기의 특성상 부드럽고 아름다운 음색을 내며 멜로디와 리듬으로 연주 할수 있지만 주로 레가토적인 멜로디중심으로 연주하며 조성의 변화가 거의 없는 진정성음악에 가깝다.

앞에서 논의한바 있는 동물과 식물에 시험한 결과를 통해 볼때

조용한 음악은 시끄러운 음악보다 마음과 몸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조용하고 아름다운음색을 내는 크로마하프악기 연주는

 마음을 다스리는데 정서적으로 효과적이며 감정을 승화시켜주고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마음에 쌓여 있던 우울함, 불안감, 긴장감등이 해소되어 마음이 정화되며

고독감이나 불안감에서 벗어날 수 있는데 도움이 된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크로마하프 는 엄마가 아기를 품에 안 듯이 가슴에 안고 연주를 하기에 포근한 안정감이 있으며, 공명통이 가슴에 가까이 있어서 어떤 악기보다 심령을 크게 울리는 악기입니다. 


크로마하프의 아름다운 음색이 가슴을 울릴때 마음 상태가 평온해지며

손끝을 움직여 연주하므로 뇌활성화를 도우며

합창으로 노래를 부를때 대인관계와 사회성이 좋아지고

찬양을 통해 텅빈 가슴을 채워 우울증을 감소시키며

단체 활동을 통해 자신감이 생겨 자아존중감을 높여주기에

크로마하프 악기 연주 활동이 중년여성들의 건강과 자아 존중감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말 할수 있다


또한 다윗의 수금이 크로마하프의 전형으로 성경적인 의미에서도

 크로마하프는 치료의 악기로 사용되었음을 본다.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3) 다위의 수금과 크로마하프 강귀순 2017.01.30 0 341
다음글 Ⅲ.연구방법 1.연구 대상 및 기간 강귀순 2017.01.30 0 179